1) 값 (value)값은 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며, 메모리에 2진수, 즉 비트(bit)의 나열로 저장된다. 2) 리터럴 (literal)리터럴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을 말한다.리터럴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미리 약속된 기호로 표기한 코드다.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가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에 리터럴을 평가해 값을 생성한다. 리터럴예시비고정수 리터럴100 부동소수점 리터럴10.5 2진수 리터럴0b010000010b로 시작8진수 리터럴0o101ES6에서 도입. 0o로 시작16진수 리터럴0x41ES6에서 도입. 0x로 시작문자열 리터럴‘Hello’”World” 불리언 리터럴truefalse nu..
1) 변수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컴퓨터는 CPU를 사용해 연산하고,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다. 각 셀은 고유의 메모리 주소를 갖는다. 자바스크립트는 개발자의 직접적인 메모리 제어를 허용하지 않는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억하고 싶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읽어 들여 재사용하기 위해 변수라는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변수(variable)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한다.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할당(assignment)이라 하고,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 들이는 것을 참조(reference)라 한다. 변수 이름을 사용해 참조를 요청하면 자바스크립트..
1) 자바스크립트의 탄생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는 웹페이지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경량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한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바로 자바스크립트이다. 2) 자바스크립트의 표준화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Javascript)와 마이크로소프트(JScript)는 자사 브라우저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자사 브라우저에서만 동작하는 기능을 경쟁적으로 추가하기 시작했다. ➡ 브라우저에 따라 웹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 발생 📌 ECMAScript ECMA스크립트(ECMAScript, 또는 ES)는 자바스크립트를 표준화 하기위해 만들어진, ECMA-262 기술 규격에 따라 정의하고 있는 표준화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버전 출시 연..